티스토리 뷰
[전역 객체]
- 코드의 어느 부분에서나 사용 가능함
- console : 콘솔 창에 결과를 보여주는 객체
- process : 프로세스의 실행에 대한 정보를 다루는 객체
- exports : 모듈을 다루는 객체
[console 객체]
- log() : 문자열을 매개변수로 전달하여 콘솔에 그대로 출력
- 형식 문자 사용 가능
- %d, %s
- %j : JSON 객체로 인식
-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항상 값을 반환하도록 되어 있음
- 값을 반환하는 코드를 넣지 않으면 undefined를 반환 :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, null과 다름
- dir(object) :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속성 출력
- time(id) : 실행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시작 시간 기록
- timeEnd(id) : 실행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끝 시간 기록
- __filename : 실행한 파일의 이름이 담긴 전역 변수
- __dirname : 실행한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의 이름이 담긴 전역 변수
[process 객체]
- argv :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전달되는 매개변수 정보
- env : 환경 변수 정보
- exit() : 프로세스를 끝내는 메소드
- argv는 배열이므로 forEach()를 사용해서 순환 가능
- env 에는 사용자 정의 환경 변수만 들어가 있으므로 시스템 환경 변수에는 접근할 수 없다.
[exports 객체]
- 메인 파일에서는 전체적인 실행 순서나 흐름만을 제어
- 독립적인 기능은 별도 파일(모듈)로 분리할 수 있다.
- CommonJs 의 표준 스펙을 따라 모듈을 사용할 수 있게 할 때 exports 전역 객체를 사용한다.
- 모듈을 만들 때 별도의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만든 후 그 코드에서 exports 객체를 사용
- exports 객체의 속성으로 변수나 함수를 지정하면 그 속성을 메인 파일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다.
- require()
- 모듈을 불러올 때 사용하는 메소드, 모듈로 만들어 둔 파일의 이름을 메소드의 매개변수로 전달한다.
- 반환된 모듈 객체를 통하여 exports 객체에 설정한 속성에 접근 가능
- module.exports와 exports의 차이
- module.exports : 하나의 변수나 함수 또는 객체를 직접 할당
- exports : 여러 개의 변수나 함수를 각각의 속성으로 추가
[외장 모듈 사용하기]
- 다른 사람이 만들어 둔 모듈을 불러와 사용 가능
- npm init : package.json 파일 만들기
- npm install [모듈명] --save : 외장 모듈 설치하고 dependencies 에 기록
[내장 모듈 사용하기]
- 자주 사용하는 기본 기능을 노드에 포함시켜 제공, 바로 사용 가능
- os : CPU나 메모리 또는 디스크 용량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 가능
- hostname() : OS의 호스트 이름
- totalmem() : 시스템의 전체 메모리 용량
- freemem() :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
- cpus() : CPU 정보
- networkInterfaces() 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담은 배열 객체 반환
- path : 파일 경로를 다룰 때 사용
- join() : 여러 개의 이름을 합쳐 하나의 파일 경로로 만들어 줌, 구분자 등을 알아서 조정함
- dirname() : 파일 경로에서 디렉토리 이름 반환
- basename() : 파일 경로에서 확장자를 제외한 파일 이름 반환
- extname() : 파일 경로에서 파일 확장자 반환
'Node.js > Do it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장 익스프레스 프로젝트를 모듈화하기 (0) | 2018.08.15 |
---|---|
6장 데이터베이스 사용하기 (6) | 2018.08.12 |
5장 웹 서버 만들기 (0) | 2018.06.27 |
4장 노드의 기본 기능 알아보기 (0) | 2018.06.26 |
3장 노드의 자바스크립트와 친해지기 (0) | 2018.06.26 |